작은 단체, 마을 모임, 동네를 사랑하는 당신의 마을지도를 소개해 주세요.

더 많은 사람들이 함께 당신의 동네를 걷고 경험하고 함께 오래오래 기억할 수 있도록이요!

서울봄, 양재를 걷다

김지은


봄, 양재를 걷다

주관 - 수원대학교 커뮤니케이션 학과

지도 교수 - 한성원

제작연월 - 2024.04

디자인 - 김지은

-

수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디자인과 수업의 일환으로 제작된 그림지도입니다.
양재동 일대를 주제로, 지도 교수님의 지도 아래 개인 프로젝트로 작업하였습니다.


이 지도는 제가 자주 방문해 익숙하고 애정이 많은 동네, 양재동을 주제로 제작하였습니다.
특히 양재천과 카페거리 일대는 남자친구와의 추억이 많은 장소이자, 자연과 감성이 조화롭게 어우러진 곳으로 제게 특별한 의미가 있습니다.
벚꽃이 피는 봄철의 분위기를 중심으로, 젊은 커플들이 데이트하거나 여유롭게 산책하기 좋은 이 지역의 매력을 담고 싶었습니다.


이 지도를 보는 분들이 양재동의 감성과 분위기를 함께 느끼며,
단순한 위치 안내가 아닌 산책하고 싶은 길, 머물고 싶은 장소, 추억을 만들고 싶은 거리를 발견하길 바랍니다.
특히 봄철 양재천을 처음 방문하는 분들이 데이트 장소나 약속 장소로 참고할 수 있는 감성적인 안내서로 활용되기를 바랍니다.

-

‌*실제 지리정보와 지도의 내용은 그림 상의 왜곡으로 인한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지도의 저작권은 지도 기획 팀과 작업자에게 있습니다. 무단도용, 무단퍼가기를 금지합니다.
*상업적 혹은 비상업적 이용을 원하시는 분은 각 기관 혹은 매드맵으로 연락 주세요.
*제작연도 이후에 변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3 2

매드맵에 공유해주신 지도들이 만들어진 동네를 구글맵에 표시했어요.

온라인 지도로 정확히 어디쯤일지 위치를 확인하고 지역주민이 만든 마을지도로 동네 여행을 떠나 보세요.

Padlet으로 만듦

1

어느 날 예쁜 골목의 가게에서 나눠주는 마을지도를 봤어요. 친구들과 그 지도에 나온 곳 들을 구경하면서 동네 구경을 잘 했어요.

2

몇 주 뒤 다른 친구들과 다시 그 동네를 찾았는데 그 지도를 다시 받아볼 수 없었어요. 온라인에서 볼 수 있을까 검색을 했는데 ㅇㅇ지도를 검색하면 부동산 임장지도만 검색 되었어요.

3

그러다 찾은 마을지도는 그 지도를 제작했다는 제작기와 해상도를 낮춘 지도 이미지밖에 찾을 수 없었어요. 저작권 문제 때문이었을까요?


4

지도 하나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기획, 리서치, 디자인, 출력 등 많은 작업이 필요해요. 또 그에 필요한 인건비와 제작 비용도 들었을거예요. 이렇게 많은 품이 들어가는데 대부분 동네에서 조금 공유되고 사라지는 경우를 많이 봤어요.

5

아직도 매 년, 매 월 많은 지역과 기관에서 마을지도가 만들어지고 있어요. 하지만 들인 노력과 비용에 비해 짧게 소비되고 사라지는 지도가 너무 아깝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각 지역의 마을지도가 온라인 유통이 잘 될 수 있다면 더 많은 사람들에게 보여지고 오래오래 기억될 수 있지 않을까요?

6

이런 단순한 질문으로 매드맵은 마을지도 온라인 아카이빙을 시작했어요. 혹시 여러분도 마을지도를 제작 하셨다면, 동네에만 두지말고 매드맵에 공유해 주세요. 더 많은 사람들이 보고 더 오래오래 우리 동네 이야기가 간직될 수 있도록이요!